반응형
1. 멜라토닌이란?
- 멜라토닌(Melatonin)은 주로 뇌의 송과선에서 생성되는 호르몬
- 수면-각성 주기(일주기 리듬)를 조절하는 핵심 물질
- 밤이 되면 분비가 증가해 생체리듬을 조정함으로써 수면을 유도하는 역할
- 이 외에도 항산화, 신경 보호, 면역 기능 등 다양한 작용이 연구되고 있음
2. 멜라토닌의 원재료 및 종류
2.1. 주요 원재료
1) 합성 멜라토닌
-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생산
- 유효성분 구조가 인체 멜라토닌과 동일
2) 식물성(천연) 멜라토닌
- 식물에서 추출
-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재료
- 피스타치오 추출물: 멜라토닌 함량이 식품 중 가장 높은 급 (1g당 최대 0.23mg 수준)
- 타트체리 추출물 : 1g당 0.07mg의 멜라토닌을 함유
- 클로렐라 추출물: 단세포 녹조류로, 멜라토닌과 함께 항산화 성분·미네랄 풍부
- 토마토 추출물
- 자주개자리(알팔파) 추출물, 상추, 기타 곡물 등
3. 멜라토닌의 식품 사용가능 여부
- 멜라토닌은 대한민국에서 '전문의약품' 으로 분류
- 건강기능식품(건기식) 사용 불가: 불면증 완화 → 질병 치료(의약품 오인)
- 우회사용: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과채가공품 등 일반식품으로 자연유래 원재료 사용한 품목은 판매 가능
(단, 수면 개선 효과와 관련한 표시 및 광고는 금지) - 수면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원료로 식약처가 인정한 성분은 감태추출물, 미강주정추출물, 락티움 등 일부임
4. 안전성 및 부작용
- 효과: 임상적으로는 합성 멜라토닌과 식물성(피토멜라토닌) 모두 수면 유도 및 총 수면 시간 증가 효과가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. 단, 식물성의 항산화 효과 및 자연스러운 흡수가 더 뛰어난 것으로 보고됨.
- 안전성: 성인의 일반적 복용량(0.5~5mg/day) 내에서는 비교적 안전
- 부작용: 과다 복용 시 졸음, 두통, 소화불량, 저혈압, 의존성 가능
반응형
'건강기능식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품질관리] GFSI 인증이란? (0) | 2025.07.01 |
---|---|
[내맘대로 시장조사] 베르베린 (0) | 2025.03.21 |
지난주 건강기능식품 : 건강기능식품 다이소 입점 (0) | 2025.03.04 |
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(시장 규모 및 변화) (0) | 2025.03.03 |
건강기능식품은 무엇일까? (영양제, 약) (0) | 2025.0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