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품질관리

[FSSC22000] ISO22000:2018 알아보기 (7. 지원(Support))

by 김과장의 건기식 품질 이야기 2025. 9. 4.
반응형

 

 

[7. 지원] FSMS가 계획대로 작동하도록자원, 사람, 인식, 커뮤니케이션, 문서화를 체계적으로 보장하는 파트입니다.

특히 교정·검증 가능한 계측자원(7.1.5)과 문서/기록 통제(7.5)는 FSSC22000 심사시 가장 많이 지적되는 포인트입니다.


 

🧰 7.1 자원(Resources)

핵심 요구: 조직은 FSMS의 구축·이행·유지·개선에 필요한 자원을 결정·제공·유지해야 합니다(인력, 인프라, 작업환경, 모니터링·측정 자원, 조직지식). 사실상 요구되는 실무 통제

  • 자원 수요 계획: 생산량/라인 변동, 계절성, 신규 제품/공정 도입 시 필요한 인력·설비·검사역량을 사전에 산정하고 예산·일정에 반영
  • 외부 제공 자원 연계: 교정기관, 시험기관, 설비 유지보수, 소프트웨어 공급자 등 외부 자원에 대한 적합성·유지관리(계약, 성과 모니터링) 체계화

 

🏭 7.1.2 인원(People)

  • 충분한 인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고, 대체인력/교차훈련 계획을 보유할 것(휴가·야간·피크타임 커버 계획 포함)
  • CCP/OPRP 담당자와 검증·검사 담당자의 역량 기준을 정의하고 배치 증빙 유지(자격·훈련·평가 기록)

 

🏗️ 7.1.3 인프라(Infrastructure)

  • 건물·유틸리티: 배수, 동선 분리(원자재/완제품/폐기물), 해충 차단, 청결구역·일반구역 구획, ·증기·압축공기 품질 관리(규격, 모니터링, 한계치·시정조치)
  • 설비·도구: 위생 설계, 세척성 검토, 예방보전(PM)과 수리 기록, 교정 대상 설비의 식별·상태 표기
  • IT 인프라: LIMS/PLM/문서관리 시스템의 접근권한·백업·무결성 통제

 

🧼 7.1.4 작업환경(Work environment)

  • 물리·위생 환경: 온습도, 공기질(필터, 압력차), 조도, 소음, 표면 위생상태, 청소·소독제 관리(SDS, 희석, 전용도구), 해충관리(모니터링·트렌드)
  • 인적 환경: 개인위생(손위생, 장갑·작업복, 장신구 통제), 알레르겐/비알레르겐 구역화(Zoning)와 색상코드, 교차오염 방지 동선
  • 환경 모니터링: 필요 시 환경미생물(E. coli, Listeria spp. ) 프로그램 설계, 빈도·부위·한계·시정조치 정의

 

🧪 7.1.5 모니터링 및 측정 자원(Monitoring and measuring resources)

  • 교정·검증: 온도계, 저울, pH미터, 압력계, 금속검출기, X-ray 등 측정설비는 지정 주기에 따라 교정 또는 검증할 것(필요 시 국가/국제 표준에 소급). 외부 교정기관의 공인성, 범위·불확도 확인
  • 허용기준·라벨: 장비별 허용오차·합격기준을 문서화하고, 장비에 식별·상태(유효/만료/격리)와 다음 교정일 표시
  • 이탈 처리: 교정 불합격/오프셋 발견 시 영향평가(언제부터, 어떤 로트에 영향, 제품처리·재검증 계획) 및 시정조치 기록
  • 중간 점검: 일상적 확인(빙점법 온도계 확인, 표준추 저울 확인, pH 버퍼 체크) SPC 트렌드로 드리프트 사전 감지
  • 소프트웨어 검증: 엑셀 계산서, 금속검출기 소프트, 온도 로거 등 측정 관련 소프트웨어의 검증·버전관리·권한 통제(수식 잠금, 변경 이력)
  • 환경조건: 측정에 영향을 주는 온도·습도·진동·청결을 관리(: 교정·측정 시 안정화 시간 준수)

 

📚 7.1.6 조직지식(Organizational knowledge)

  • 필요 지식 정의: 제품·원료 사양, 알레르겐 지식, 위해요소·공정능력, 세척·살균 파라미터, 법규·고객표준, 회수/위기대응 노하우
  • 확보·공유: 표준작업서(SOP), 작업지도서, 교훈관리(Lessons learned), 변경관리에서 도출된 지식의 전파, 이직·교대 간 인수인계
  • 최신화: 법규 개정, 과학정보 업데이트, 고객 요구 변경 시 즉시 반영(버전관리·공지)
 

 

🎓 7.2 역량(Competence)

핵심 요구: 식품안전에 영향 미치는 업무 수행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정하고, 훈련·교육·경험 등으로 역량을 확보·평가하며 기록을 유지해야 합니다.

 

실무 포인트

  • 역량 매트릭스: 직무별 요구 역량(: CCP 모니터링, 알레르겐 전환 세척, 미생물 샘플링)을 정의하고 필수/우대 구분
  • 교육 체계: 신규 입사 교육(방침·위생·안전·알레르겐) → 직무별 OJT → 정기 재교육( 1회 이상) → 효과성 평가(테스트/현장 코칭)
  • 자격·면허: 지게차, 보일러, 위험물, 내부심사원 등 법적·사내 자격 관리와 유효성 점검
  • 외주·파견 인력: 동일 기준의 교육·평가 적용과 기록 확보(계약 조항 포함)
 
 

7.3 인식(Awareness)

핵심 요구: 모든 인원이 식품안전 방침, 자신의 활동이 식품안전에 미치는 영향, 요구사항 불이행의 결과, 자신이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방법을 인식해야 합니다.

 

실무 포인트

  • 현장형 커뮤니케이션: 포스터, 라인 브리핑(TBT), 영상, 다국어 표기, 알레르겐/이물 핫스팟 알림
  • 이해도 확인: 짧은 퀴즈, 인터뷰, 행동관찰(손위생, 금속탐지 이탈 대응)로 인식 점검 및 피드백
  • 문화 지표: 자발적 아차사고 보고 건수, 교육 후 행동개선율, 불이행 시 후속 조치의 일관성
 
 

📣 7.4 커뮤니케이션(Communication)

핵심 요구: 내부·외부 커뮤니케이션의 대상, 내용, 시기, 책임, 방법, 언어, 문서화 요구사항을 계획하고, 실행 기록을 유지해야 합니다.

 

실무 포인트

  • 내부 커뮤니케이션: 이탈·변경·회수·검증 결과 공유 루트(생산↔QA↔설비), 교대 간 인수인계 템플릿
  • 외부 커뮤니케이션: 당국·고객·소비자·공급자와의 통로, 의무 통보 항목(제품 안전 문제 발생 시), 템플릿(성명·로트·위험·조치·연락처)
  • 비상시 커뮤니케이션: 24/7 연락망, 대변인 지정, 메시지 승인 절차, 기록 보관(통화·메일 로그)
  • 수신 정보 관리: 고객 불만·경보·법규 개정 알림의 수신평가조치피드백 루프
 
 

🗂️ 7.5 문서화된 정보(Documented information)

핵심 요구: FSMS에 필요한 문서와 기록을 생성·갱신·통제해야 합니다. 가독성, 식별성, 추적성, 보호, 보존기간, 접근권한, 변경이력이 관리되어야 합니다.

 

생성·갱신(7.5.2)

  • 식별·형식·매체: 문서 번호·제목·버전, 서식 규격, 전자/종이 매체 기준 정의
  • 검토·승인: 작성검토승인 역할 분리, 유효성 확인(법규·고객 요구 반영) 후 발행

통제(7.5.3)

  • 배포·접근: 작업장에는 최신본만 비치, 전자문서는 접근권한·로그 관리, 외부문서(법규·규격)의 식별과 최신화
  • 변경관리: 개정 사유·영향·교육 필요 여부 기록, 구판 회수·폐기 또는참조용식별
  • 기록 관리: 판독성·보존성, 위변조 방지(전자서명·감사추적), 백업·재해복구, 보존기간 설정(최소 소비기한+추적 필요기간 등 합리 기준)

데이터 무결성 팁

  • ALCOA+ 원칙(Attributable, Legible, Contemporaneous, Original, Accurate + Complete/Consistent/Enduring/Available) 적용
  • 스프레드시트는 셀 잠금, 수식 검증, 버전관리, 접근권한으로 통제
 

 

🧾 필수 증빙(예시) — 감사 대비 자료 묶음

  • 자원: 인력계획표, 예방보전 계획·실적, 유틸리티 수질·공기 검사 성적서, 구역화 도면
  • 측정자원: 교정성적서(범위·불확도·소급성), 중간점검 기록, 장비 상태라벨, OOT 영향평가 리포트, 소프트웨어 검증서
  • 역량·인식: 역량 매트릭스, 교육 계획·수료·효과성 평가, 인터뷰/관찰 체크리스트
  • 커뮤니케이션: 내부 공지, 교대 이관 기록, 고객/당국 통보 템플릿·로그, 비상 연락망 테스트 기록
  • 문서·기록: 문서목록(메타데이터 포함), 개정 이력, 접근권한 매트릭스, 백업·복구 테스트 기록, 보존기간 매트릭스
 

⚠️ 자주 지적되는 부적합 패턴

  • 교정은 했으나 허용기준·사용중지 절차·영향평가가 미흡(“불합격인데 계속 사용”)
  • 금속검출기·X-ray 등 중요 설비의 일상 검증 빈도·감도 기준 불명확 또는 기록 누락
  •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제품·공정 위험도와 불일치(구역화 미반영, 빈도 과소)
  • 외주 인력·야간 교대의 교육·역량 평가 누락
  • 문서 구판 혼용(작업장에 구판 SOP 방치), 전자 문서 변경 이력·접근통제 미흡
  • 커뮤니케이션 계획은 있으나 비상 연락망 미검증(야간·주말 콜 테스트 부재)
반응형